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시제품 개발

Article information

J Coast Disaster Prev. 2022;9(1):103-111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January 30
1해양재난⋅재해연구센터
2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1장 서 론

제1절 목적 및 필요성

1. 목적 및 필요성

• 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시제품 개발은 가상공간에 해양스마트시티를 구현하기 위한 3D 모델링, VR 시뮬레이션, IoT 디지털 트윈 적용 기술과 가상화된 해양인프라를 기반으로 해양재난⋅재해로부터 안전한 해양공간 정보활용 및 연안재해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을 위한 해양 디지털 트윈 플랫폼 핵심 기술을 제안하고자 함

• 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필요성

- 코로나 펜데믹 상황에서의 디지털 전환 핵심기술 확보 경쟁

- 디지털 트윈 기술은 예방, 예측 및 최적화를 위한 핵심 기술

-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통한 국가차원에서의 산⋅학⋅연 연구 지원

제2절 기술 동향

1. 디지털 트윈 동향

•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은 가상공간에 현실세계(물리적세계)를 동일하게 구현하고 현실 상황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결과를 예측하는 기술임. 최근 디지털 트윈은 안전, 인프라, 도시 등 국가 전반의 디지털 전환 기술로 발전되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음1,2

• BigData, Ai, IoT, AR⋅VR⋅MR, 5G, 드론, 클라우드 컴퓨팅 등 ICT 기술 발전으로 디지털 트윈 플랫폼 개발 및 실감형 콘텐츠 개발 등 디지털 트윈 구축 비용이 감소함에 따라 정부, 지자체, 기업에서 건물, 인프라, 에너지, 도시관리 분야에 디지털 트윈 활용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기기, 설비, 건물의 복잡한 인프라 관리의 비효율 증대와 도시 성장에 따른 복잡한 의사결정 수요에 따라 맞춤형 디지털 플랫폼이 구축되어 활용됨

•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을 중심으로 해양과학기술의 기초, 응용 원천기술과 첨단 해양산업의 발전으로 해양 데이터에 AR⋅VR⋅MR 등 최신 ICT 기술을 적용하여 해양정보 시뮬레이션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음

• KIOST 첨단 해양산업 오픈랩 지원으로 실감형 해양 융합 콘텐츠 플랫폼 기술과 해양 시뮬레이션 기술의 발전으로 해양 콘텐츠를 이용한 사용자 교육, 체험학습, 원격 해양관광 및 해양치유 분야에 활용되고 있음3,4

• 해양 ICT 분야 디지털 트윈은 LNG 선박, 자율운항 선박, 해양플랜트 등 고부가 가치 조선산업과 터미널, 항만, 물류 등 디지털 항만 및 물류산업, 그리고 연안재해 및 연안관리 시뮬레이션과 재해로부터 안전한 해양스마트시티 구축 분야에서 실감형 플랫폼 및 융합 콘텐츠 기술 개발에 활용되고 있음

• 해양 디지털 트윈 플랫폼 기술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센싱, 5세대 통신(5G) 등 혁신기술을 기반으로 실시간 드론 모니터링, CFD 수치해석 시뮬레이션, 공간 정보 기반 3D-GIS 연동기술 및 Unity3D와 UNREAL 물리엔진 기반 디지털 트윈 및 메타버스 플랫폼 기술과 결합하여 해양 ICT 융합기술과 해양 신산업의 발전을 이끌고 있음

2. 해양 디지털 트윈

• 디지털 트윈은 일반적으로 3단계로 구분하여 구축함. 1단계 3차원 가상세계 서비스, 2단계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 서비스, 3단계 분석, 예측, 최적화, 교육훈련 서비스 구축 순서로 개발하고 있음

- (1단계) 3차원 가상세계 서비스 : 공공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 구축을 위한 라이다, 드론, VR 카메라를 활용한 측량 및 CAD, BIM, GIS 활용 3D 모델링

- (2단계)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 플랫폼 개발 : IoT 센서, CCTV 등 실시간 데이터 및 영상정보, 원격제어용 클라우드 플랫폼 개발

- (3단계) 분석, 예측, 최적화, 교육훈련 시스템 구축 : 가상세계에서 실시간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 예측할 수 있는 빅데이터, 머신러닝, AR/VR/MR 시뮬레이션과 5G, 클라우드, AI 컴퓨팅 등 서비스 시스템 개발

- 해양 디지털 트윈은 개발하고자 하는 분야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3D 측량 및 모델링(역설계), 가상화 및 시뮬레이션 개발, 해양 IoT 센서 정보와 연계한 클라우드 플랫폼 개발, 클라우드 서비스 및 5G 원격 서비스 시스템 순으로 개발됨

• 특히, 부산 북항에 구축될 해양스마트시티와 서부산 에코델타시티에 해양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은 국민과 부산 시민의 해양활동 증가에 따른 해양재난⋅재해 대응과 사전예방으로 국민의 생명과 재산보호 및 피해저감 등을 위한 사전 분석 및 예측과 예방 활용에 필요함

제2장 본론

제1절 해양 디지털 트윈 연안관리

1. 기술 동향

• 기후변화와 연안재해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과 남해안 태풍 및 동해안 돌풍의 빈번한 내습으로 연안에서 해일, 월파, 침식, 침수, 해안선 후퇴 등 연안재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짐

- 2021년 8월 9일 발표된 UN IPCC(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협의체) 6차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현재 지구 평균 대기온도(15°C)는 산업화(1850-1900) 이전보다 1°C 상승함. 현재 수준의 이산화 탄소 배출시 2030년 중⋅후반 지구 평균 대기온도는 1.5°C 상승한 15.5°C로 예측됨

- 해양수산부 2020년 연안침식실태조사에 따르면 연안 침식 우심률(C, D 등급 비율)은 62.4%(156/250 개소)로 높아짐. 특히, 동해안 우심률은 75.9%로 조사된 87개소에서 66개소가 우려와 심각한 수준임

- 또한, 하천개발과 인공구조물 건설에 따른 표사유입의 감소와 연안표사 이동의 차단으로 동해안의 해안침식은 점차 심각해지고 있음

2. 디지털 트윈 연안관리

• 최근 해양과학기술(MT)과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등 ICT 융합 기술의 발전으로 연안 해양환경과 재해안전 시뮬레이션 기술이 발전하고 있음5, 6

• 디지털 트윈 연안관리 기술은 산업통상자원부 공공기관이전연계 육성사업의 지원으로 지역 맞춤형 디지털 트윈 연안관리 활성화를 위해 해양인프라 가상화 및 연안재해 시뮬레이션, 해안선 변화 시뮬레이션, 지역표사관리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을 목표로 시범적으로 추진되고 있음7

1) 연안재해 시뮬레이션

• 연안재해 시뮬레이션은 태풍, 월파 및 해수면 상승, 침수범람 등 연안재해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음

• 인공구조물 파손과 침수범람 등에 대응할 수 있는 연안재해 대응 시뮬레이션 시스템(그림 1)을 개발하고 있음

<그림 1>

연안재해 시뮬레이션 시스템

- 해양구조물 모델링 DB구축은 방파제, 해안도로, 호안, 해수욕장 등 해양구조물 측량, 3D 스캐닝, 역설계, 포인트 클라우드, 모델 정합 및 최적화 등 3D 모델링 기술을 적용함

- 해양인프라 가상화 플랫폼은 방파제, 해안도로, 호안, 해수욕장 등 해양인프라를 역설계, 가상화(그림 2), AR⋅VR 및 공간정보 디지털 트윈 3D-GIS 기반 연안재해 시뮬레이션(그림 3) 기술을 적용함

<그림 2>

해양구조물 3D 측량 및 가상화

<그림 3>

해양환경 및 연안재해 3D-GIS 시뮬레이션

2) 해안선 변화 시뮬레이션

• 해수면 상승, 태풍, 너울성 파도 등 자연재해로 발생하는 장기 해안선 변화와 어항, 항만, 준설 등 해양구조물 건설로 발생하는 단기 해안선 변화를 수치모델과 연계한 3D-GIS 예측 시뮬레이션 기술(그림 4)을 활용함

<그림 4>

해안선 변화 수치해석 3D-GIS 연동 기술

- 해안선 변화 시뮬레이션은 연안 기초정보 및 이력 정보와 파랑기후자료 기반한 파랑 변형 수치모델 결과를 연계하고, 인공구조물과 해안침식 저감시설에 적용 가능한 해안선 변화 시뮬레이션(그림 5) 패키지임

<그림 5>

해안선 변화 시뮬레이션 기술

3) 지역표사관리 시뮬레이션

• 지역 맞춤형으로 연안 모래자원의 침식⋅퇴적⋅이동에 따른 연안 지형변화를 가상공간에서 감시하고 장⋅단기 예측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하고 있음

• 다양한 조건의 차이로 인해 지역별로 맞춤형 데이터를 적용함. 따라서 지역표사계를 선정하고 수치해석을 연계한 지역표사수급체계를 수립함(그림 6)

<그림 6>

지역표사관리 시뮬레이션 시스템 흐름도

- 지역표사관리 시뮬레이션 시스템(그림 7)은 해당 지역의 다양한 기초정보조사 및 환경 설정을 통해 맞춤형 표사수급체계를 수립하여 지역표사관리 시뮬레이션을 지원함

<그림 7>

지역표사관리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축

- 또한, 기초자료조사 및 지역단위 표사계수립, 소구역 표사계의 표사공급량 평가 및 지역표사수급 분석, 표사수급분석을 통한 지역표사관리 시뮬레이션을 수행함

3. 디지털 트윈 연안관리 시스템 패키지

• 공간정보 3D-GIS 기반 해양 디지털 트윈 연안관리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한 해양인프라 및 연안재해 시뮬레이션 시스템(그림 8), 파랑 및 해안선 수치모델을 연계한 해안선 변화 시뮬레이션 시스템(그림 9) 그리고 해안개발 이력, 연안침식, 해안선 변화, 표사수급 분석에 기반한 시뮬레이션 시스템(그림 10)을 패키지로 연동하는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술임

<그림 8>

지역 맞춤형 해양환경 시뮬레이션 패키지 구축(안)

<그림 9>

지역 맞춤형 해안선 변화 시뮬레이션 패키지 구축(안)

<그림 10>

지역 맞춤형 디지털 트윈 연안관리 패키지 구축(안)

• 기후변화 및 연안개발에 따른 연안재해 대응 및 공간관리에 대한 데이터 기반 해양과학기술 적용과 ICT 융합 기술 기반 디지털 트윈 연안관리 시스템 시범 구축은 대표적인 해양 디지털 트윈 활용 기술임

제2절 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1. 기술 동향

• 연안재해로부터 안전한 해양스마트시티 구축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해양 분야 대표적인 사례임

• 최근 IoT 해양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과 AR⋅VR 기반 연안재해 시뮬레이션 기술의 발전으로 연안 재난⋅재해로부터 안전한 해양스마트시티 구축 방법이 해양 디지털 트윈 플랫폼 기술 개발로 구체화되고 있음

2. 해양스마트시티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첨단 해양산업 오픈랩(www.vrocean.or.kr) 연구진은 산업통상자원부와 부산광역시 지원으로 부산 북항을 대상으로 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시제품을 개발함(http://forge.vrocean.or.kr)

- 북항 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시제품은 북항 해양인프라 가상화와 북항 디지털 트윈 플랫폼 개발로 구분됨. 디지털 트윈 플랫폼은 북항 해양인프라 3D 데이터 구축, 해양 IoT 수온 센서 모듈 개발, 실시간 데이터 연동 및 DB 구축 개발 순서로 진행함

1) 해양스마트시티 가상화

• 부산 해양인프라 디지털 플랫폼(그림 11)을 구축하기 위하여 관련 3D 스캐닝, 포인트 클라우드, 역설계, 모델링, 실시간 시뮬레이션 기술을 기반으로 부산을 북항을 중심으로 가상화, 재해안전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하고 있음

<그림 11>

부산광역시 북항 해양인프라 가상화

- 해양인프라 플랫폼에서 선박 시뮬레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연구조사선 이사부호를 3D 실시간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함(그림 12)

<그림 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사부호 실시간 시뮬레이션

2) 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 북항 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시제품 개발은 북항 해양인프라 가상화 플랫폼(그림 13)에서 생성한 북항 3D 가상화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본 지형지물로 활용함

<그림 13>

북항 해양스마트시티 해양인프라 가상화 플랫폼 3D 모델링

• 수온 IoT 센싱 정보와 CCTV 정보를 디지털 트윈 Forge 플랫폼에서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동하는 기술을 개발함

• 북항 해양인프라 3D 데이터 구축 : 북항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의 지형정보 구성은 실제 존재하는 지형정보, 건물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GIS데이터 활용함

• 실제 환경과 동일한 지형정보, 건물정보를 구성하고 실제 환경에는 아직 반영되지 않은 변화를 다양한 환경에서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구성함

• 북항 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시제품(그림 14)은 현실공간의 지형정보, 건물정보, 실제 환경 정보, 기상정보, 영상정보를 통해 디지털 트윈 기반 북항을 구현함

<그림 14>

북항 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시제품 웹사이트(http://forge.vrocean.or.kr)

• 해양 IoT 수온 센서 모듈 개발

- 실제환경에서의 지형정보, 건물정보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다양한 정보를 디지털 트윈 환경에서 활용하기 위해 해양 수온 IoT 센서를 개발함(그림 15)

<그림 15>

해양 수온 IoT 센서 개발

- 모듈에 장착된 수온센서를 통해 일정한 주기로 측정된 데이터를 디지털 트윈 서버로 송신하도록 구축됨

- 또한, 태양광 패널을 활용해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천재지변으로 인해 기능이 완전히 상실되더라도 자가발전을 통해 일정량의 전력이 확보된다면 스스로 재가동할 수 있도록 모듈을 설계함

• 실시간 데이터 연동 및 DB 구축 개발

- 센서와 공공데이터를 통해 수집된 정보들은 데이터 분석을 위해 DB서버에 저장됨

- 저장된 정보들은 다양한 분야의 연구개발에서 재활용할 수 있으며, IoT센서 연동을 통해 기존에 관측되고 있는 정보들뿐만 아니라 연구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기 위해 IoT모듈에 센서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함

- 센서 획득 데이터, 공공데이터,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지털 트윈 플랫폼과 연동하는 시스템 개발 디지털 트윈 플랫폼과 연동하는 시스템 개발(그림 16)

<그림 16>

실시간 데이터 연동 및 DB 구축 플랫폼 개발

- 고도화를 통해 실제 환경변화에 따라 디지털 트윈 시스템의 환경도 함께 변화하는 고도의 디지털 트윈 시스템을 구성할 예정임

제3절 해양정보 메타버스 시뮬레이션

1. 기술 동향

- Covid-19 팬데믹으로 다중이 모이는 공공장소에서 실내 활동과 대면 접촉이 제한된 상황임

- 따라서 해양 공간정보와 해양 융합 콘텐츠를 디지털 트윈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원격으로 실감형 해양 콘텐츠를 제공하는 메타버스(Metaverse)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하고 있음8

- 상기 기술은 IoT 센싱 기반의 해양 환경정보 및 해양공간정보를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MR(혼합현실) 기술과 융합한 실감형 콘텐츠를 제작하여 디지털 트윈 기반 메타버스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현하고자 함

2. 디지털 트윈 기반 메타버스 시뮬레이션

• 이를 통해 실제 바닷가 해변이나 아름다운 섬에 방문하지 않아도 AR⋅VR 실감형 융합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어 해양치유 효과가 있음. 또한, 방문하기 어려운 독도의 사계절 및 해저환경과 같은 해양공간 정보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기술임

• 디지털 트윈 기반 메타버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하면 해양치유 센터 또는 독도 센터와 같은 해양치유 프로그램과 독도 체험 및 공연 프로그램을 원격지 사용자에게 아바타를 이용한 비대면 실감형 체험 콘텐츠 서비스를 시뮬레이션으로 제공함

• 해양정보 기반 메타버스 시뮬레이션 시스템(그림 17)을 통해 실제 존재하는 공간을 가상화 후 임의의 자연재해를 시뮬레이션하면 피해가 발생하는 규모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음

<그림 17>

수치데이터 기반 메타버스 시뮬레이션

• 이를 인공지능과 연계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물 설계 및 연안재해 위험평가를 추진할 수 있음

• 해양 디지털 트윈 기반 메타버스 환경 구축

- 해양 디지털 트윈 기술은 가상공간에 현실세계를 동일하게 구현하고 가상현실 속에서 다양한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함

- 해양인프라 운영, 해양스마트시티 관제, 인공지능 무인선박 자율운항 등 첨단 해양산업 분야와 미래 연안 재해 예측 기술에 활용됨

-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시뮬레이션 기술을 사용자 체감형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는 기술을 메타버스 환경 구축으로 볼 수 있음

- 해양치유센터 메타버스 환경 구축, 디지털 항만 원격 운영, 해양스마트시티 관제 등 해양 AR⋅VR 실감형 콘텐츠 시뮬레이션 기술과 IoT 센싱 기반 디지털 트윈 통합 플랫폼 기술이 메타버스 환경을 구축하는 핵심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음

• 해양정보 메타버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 해양정보 메타버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디지털 트윈 기반 실감형 콘텐츠를 메타버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해양정보를 시뮬레이션으로 이용할 수 있음

- 해양정보를 기초로 비대면 AR⋅VR 해양치유, 해양관광, 에듀엔터테인먼트에 활용할 수 있음

- 해양정보 AR⋅VR 에듀엔터테인먼트 플랫폼(그림 18) 기술을 활용해 부산지역의 가상화 기술 구현과 해양환경의 인프라 시각화를 제공하는 북항 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시스템을 해양치유 목적의 해양환경 디지털 트윈 메타버스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음

<그림 18>

디지털 트윈 기반 해양 AR⋅VR 에듀엔터테인먼트시스템(KIOST 첨단 해양산업 오픈랩)

- 해양치유센터 디지털 트윈 작업과 해양치유 프로그램에 디지털 트윈 메타버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활용하여 원격지의 사용자에게 해양치유 센터별 자연경관과 해양치유자원을 시각화하여 정서적 안정효과 및 해양치유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

- 해양정보 메타버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통해 실제 존재하지 않은 상황에 대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실제 환경을 구성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다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해양치유 프로그램 검증 및 개선이 가능함

제3장 결론

• 해양 디지털 트윈 연안관리 시뮬레이션

- 공간정보 기반의 3D-GIS 디지털 트윈 플랫폼과 해양 인프라 3D 가상화(Virtualization) 플랫폼을 개발하여 부산 북항과 마린시티 및 해운대 해변을 중심으로 IoT 기반의 해양 디지털 트윈 연안관리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에 활용하고 있음

- 해양 데이터의 과학적 가시화 기술과 연안 수치해석 및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태풍, 월파, 침수범람, 해안침식, 해수면 상승 시뮬레이션으로 연안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해안선 변화 시뮬레이션 및 지역표사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음

- 해양 디지털 트윈 연안관리 시뮬레이션 플랫폼 개발은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재해를 효과적으로 저감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해양 디지털 트윈 연안관리 시뮬레이션 기술을 연안재해위험평가 제도와 함께 활용할 수 있도록 동⋅서⋅남해안 지역 상생⋅맞춤형 해양 디지털 트윈 연안관리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과 보급이 필요함

• 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 해양인프라 가상화 플랫폼과 연안재해 시뮬레이션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해양 IoT 센싱 정보와 CCTV 공공데이터를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데이터와 DB를 연동하여 서비스하는 인터넷 기반 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시제품을 개발함

- 북항 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기술은 연안 재난⋅재해로부터 안전한 해양스마트시티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실시간 모니터링, 월파 및 침수범람 수치해석, 연안재해 시뮬레이션 기술이 연동되어 재난재해 관제 기술에 활용됨

- 또한, 북항 재개발 사업 진행에 따라 개발될 건축물에 의한 부산의 경관 관리에 활용될 수 있으며, 실시간 해양정보를 제공하여 북항을 활용하는 부산 시민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

- 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그림 19)은 가상공간에 해양스마트시티를 구현하기 위한 3D 모델링, VR 시뮬레이션, IoT 디지털 트윈 적용 기술과 가상화된 해양인프라 기반 해양재난⋅재해로부터 안전한 해양공간 정보활용 및 연안재해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과 해양분야 디지털 트윈 플랫폼의 핵심 기술로 활용할 수 있음

<그림 19>

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시제품 개발(안)

• 해양 디지털 트윈 기반 메타버스 환경 구축

- 해양 디지털 트윈 기술은 가상공간에 현실세계를 동일하게 구현하고 가상현실 속에서 다양한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하여 해양인프라 운영, 해양스마트시티 관제, 디지털 무인선박 자율운행 등 첨단 해양산업 분야와 미래 연안재해 예측 기술에 활용되고 있음

-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시뮬레이션 기술을 사용자 체감형 통합 플랫폼 구축 기술을 해양 메타버스 환경 구축으로 볼 수 있음

- 해양치유센터 메타버스 환경 구축, 디지털 항만 원격 운영, 해양스마트시티 관제 등 해양 AR⋅VR 실감형 콘텐츠 시뮬레이션 기술과 IoT 센싱 기반 디지털 트윈 통합 플랫폼 기술이 메타버스 환경을 구축하는 핵심기술로 활용될 수 있음

- 해양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해 실제 존재하지 않은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사전에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음

- 또한, 실제공간과 동일한 환경을 구성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다 직관적이고 효과적인 검증할 수 있음

Acknowledgements

본 학술기사는 산업통상자원부 이전공공기관연계 육성사업 지원(2018-2022) “첨단 해양산업 오픈랩 구축 및 실감형융합 콘텐츠 개발” 과제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개발 워킹그룹 운영(2021) “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개발 기획” 과제의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References

1. Boschert, S. and Rosen, R. (2016). “Digital twin—the simulation aspect.” In Mechatronic futures, Springer, Cham, pp. 59-74.
2. Tao, F., Zhang, H., Liu, A. and Nee, A. Y. (2018). “Digital twin in industry: State-of-the-art.”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Informatics, Vol. 15, No. 4, pp. 2405-2415.
3. 임학수, 김동하, 이희준, 진승환, 신동원 (2021). “해양 자료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출원번호: 10-2021-0024845, 출원일자: 2021.02.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4. Lim, H. S., Kim, D. H., Kim, J. H., Jin, S. H. and Sin, D. W. (2021). “해양 데이터 기반 실감형 AR⋅VR 에듀엔터테인먼트시스템 개발.”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Vol. 28, No. 1, pp. 78-84.
5. 양웅연, 조동식, 김용완, 이건 (2011). “산업 적용형 가상현실 기술.” 전자통신동향분석, Vol. 26, No. 1, pp. 25-35.
6. 김창식, 조동식, 임학수, 윤종주 (2004). “해양환경 분석을 위한 가상현실 기법 적용.” 한국 HCI 학회 학술대회, pp. 526-531.
7. 임학수, 이희준, 김동하, 진승환, 김주환 (2021). “연안관리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안 변화 예측 방법.” 출원번호: 10-2021-0097244, 출원일자: 2021.07.2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8. 임학수, 김동하, 김주환, 홍성훈, 진승환 (2021). “메타버스에 기반한 해양 체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출원번호: 10-2021-0154840, 출원일자: 2021.11.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그림 1>

연안재해 시뮬레이션 시스템

<그림 2>

해양구조물 3D 측량 및 가상화

<그림 3>

해양환경 및 연안재해 3D-GIS 시뮬레이션

<그림 4>

해안선 변화 수치해석 3D-GIS 연동 기술

<그림 5>

해안선 변화 시뮬레이션 기술

<그림 6>

지역표사관리 시뮬레이션 시스템 흐름도

<그림 7>

지역표사관리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축

<그림 8>

지역 맞춤형 해양환경 시뮬레이션 패키지 구축(안)

<그림 9>

지역 맞춤형 해안선 변화 시뮬레이션 패키지 구축(안)

<그림 10>

지역 맞춤형 디지털 트윈 연안관리 패키지 구축(안)

<그림 11>

부산광역시 북항 해양인프라 가상화

<그림 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사부호 실시간 시뮬레이션

<그림 13>

북항 해양스마트시티 해양인프라 가상화 플랫폼 3D 모델링

<그림 15>

해양 수온 IoT 센서 개발

<그림 16>

실시간 데이터 연동 및 DB 구축 플랫폼 개발

<그림 17>

수치데이터 기반 메타버스 시뮬레이션

<그림 18>

디지털 트윈 기반 해양 AR⋅VR 에듀엔터테인먼트시스템(KIOST 첨단 해양산업 오픈랩)

<그림 19>

해양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플랫폼 시제품 개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