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침식 관련 신용어 소개 및 용어집 발간

0. 들어가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강도의 증가 및 이상 고파 등의 발생으로 인하여, 동/서/남해안의 많은 해안에서 연안 침식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또한 해안 및 백사장에 대한 이용 가치 증진 및 여가 등 국민적 관심의 증대로 인하여, 연안침식 관련 이슈들에 대해서 선제적을 대응하는 차원에서 심도있는 관련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그 중에서 2021년까지 수행된 연안침식 관리 및 대응기술 실용화 사업 (주관: 성균관대학교, 발주처: 해양수산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연구기관 및 참여연구원 수: 1차년도 15개 140명, 2차년도 13개 113명, 3차년도 17개 169명, 4차년도 16개 139명, 총 연구금액: 1,580백만원, 총 연구기간 : 2018. 07 ~ 2021. 12)의 연구성과는 아주 풍성하고 다채롭다. 연안침식 관리 가이드라인, 한국 해안환경 Atlas, 연안역 표사이동 및 지형 변화 해석 교육교재 집필 및 교육진행, 연안침식 분야 국외 저명인사 초청 강연, 국제학술대회 개최 및 공청회, 국내외 논문 등 학술활동, 스페인 연안관리 교육 프로그램 추진 및 기고문을 통한 국내 소개 등이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연안분야에서 생소하거나 복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자 하는 용어사전 형식으로 용어들을 소개하는 성과물을 제시하였다. 이를 우리학회 황규남 전 회장 (전북대 교수)를 필두로 학회 회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사업단에서 제시한 용어 정의 및 해설에 대해서 검토하는 용역을 수행하였다. 이에 본 용역 결과 보고서를 바탕으로 학회지에 학술기사를 작성하고자 한다.

1. 서론

다양한 분야의 학문적 또는 기술적 발전의 융합들과 지속적인 전문기술 발전으로 인해 지식과 정보가 매우 방대하고 빠르게 생산되고 있으며, 각 분야별 독자적인 연구 개발과 더불어 융⋅복합적인 지식의 결합을 요구하고 있는 현 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연안침식 과 관련된 용어조사 연구는 연안침식 용어의 기본 개념과 관련정보를 가장 집약적으로 전달해 준다는 점에서 핵심적인 연안침식 정보 제공 수단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미국, 유럽, 일본 등 연안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연구해온 국가들은 오랜 전통 속 에서 전문용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용어에 대한 조사 및 정리를 통해 용어사전, 용어집 등의 성과들을 축적해오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와 발맞추어 해양과 관련된 각 분야별로 전문용어에 대한 연구와 성과들을 쌓아가고 있다. 그러나 연안침식관리를 주 목적으로 하는 전문용어에 대한 조사 및 정리되어진 성과는 아직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주로 항만, 해양, 조선 등 바다와 관련된 분야들의 용어들이 전문분야별로 명확하게 구별되어있지 않고, 혼재되어 사용하고 있는 현실속에서, 연암침식관리 및 대응기술 실용화 연구 사업을 통해 도출되어진 용어를 바탕으로 연안관리를 위한 전문용어의 기틀 마련하는데 아래와 같은 연구조사 및 분석 후 정리가 필요하다. 현재 사용되어지고 있는 연안침식 관련 용어들을 체계적으로 조사⋅정리하고, 연안침식 관련 전문 용어들의 통일된 개념 및 정의를 명확히 제시하며, 현재 수행되어지고 있는 ‘연안침식 관리 및 대응기술 실용화’ 연구과제에서 정의되는 신규 용어들을 포함한 자료들을 기초로 하여 향후 관련 용어사전, 용어집 등 연안침식과 관련된 용어수록 책자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번 과업의 주요 목적은 아래와 같다.
- 연안침식관리 전문분야 용어의 표준화 기반 확립
- 전문분야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 전문용어 학술적 연구 및 정보 교류를 위한 활동 강화

2. 본론

2.1 자료수집 및 분석

관련분야별 용어집 조사, 분야별 용어 분류, 분류 용어의 정의 및 설명 검토, 선정된 용어설명 정리 등 순으로 진행하였고, 세부적으로 연안침식의 원인규명, 해안지형, 해안구조물, 표사특성, Hydro-dynamics와 관련된 용어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2.2 용어 표준화 원칙과 방법

용어의 표준화 작업 원칙은 최신 용어(연안역 표사이동 및 지형변화 해석 교재, 연안침식 관리 및 대응기술 실용화 R&D 연구성과 등)를 우선적으로 조사 수록할 수 있도록 하고, 용어 정의에 대한 해설에 대해서도 최신의 환경에 맞게 좀 더 쉽게 보완하려고 하였다. 「해양수산 분야 전문용어 표준화」고시에 따라 순화된 용어들은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영문용어를 우리말로 바꾸는 경우 되도록 한가지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2개 이상 사용할 시에는 연안침식 전문 용어집의 취지에 맞게 통상적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나열토록 하였다. 제일 중요한 사항으로 연안침식에 대해 전문가뿐만 아니라 처음 접하는 기술자와 비전공자에게는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와 해설을 최대한 이해하기 쉽도록 작성하였다.

2.3 용어의 표기

기본적으로 표제어는 한글(한자), 영문 순으로 표기하고 그에 맞는 해설을 붙였다. 한글 표기를 우선으로 하고, 그에 대응하는 한자어가 있을 경우 한글 표제어 바로뒤에 괄호를 두고 함께 표기하였다.

2.4 연안침식 관련 신규 용어 소개

새로이 소개되는 연안침식 관련 용어를 아래 표 1과 같이 정리하였다.

2.5 용어집 발간 계획

향후 학회 차원에서 연안침심 전문 용어집 내지는 연안분야 용어사전을 편집할 계획이고 형식으로는 책자 형식과 모바일 형식으로 병행하고자 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학술위원회 내지는 학회지편집위원회 (학술부회장 신성원교수)에서 계획 수립 중이다.

3. 결언 및 고찰

해양, 항만 등 유사한 여러 분야별로 사용하고 있는 연안 침식 관련 전문용어를 통일화, 표준화하여 전문용어집 발간을 통해 정의된 공용용어를 활용하여 확산 배포하여 사용함으로써 연안침식 관련 분야의 정확한 지식교류와 교육을 통해 더욱 발전될 것으로 기대되고, 연안침식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접근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의 사용빈도가 월등하게 높거나 명확하게 구분되어진 용어는 표제어 선정 및 표준화 과정에서 용어집 수록에 비교적 잘 적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동일한 표기의 용어가 사용목적 및 적용위치 등 의미에 따라 구분되어야 하는 경우와, 외래어 표기를 국문으로 변경할 경우 1개의 외래어 용어이나, 국내에서 통상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가 중복되거나 세분화 되는 경우에 대해 오류 또는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미미한 부분들은 향후 학회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바탕으로 산학관연의 공통된 표준 용어집 제정함으로 해결될 것으로 판단된다.

<표 1>
연안침식 관련 신규용어
순번 용어
정의
한글 영문
1 관리해안선 Mangement shoreline 장기적 해빈 면적의 감소로부터 백사장 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평균유지 목표해안선과 빈번한 단기 해안 침식으로부터 배후 육역을 보호할 목적으로 하는 침식저지 목표해안선을 말함.
2 평균유지 목표해안선 Mean target shoreline 기존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사빈의 지속적 유지를 관리 목표의 최우선으로 하나, 여의치 않은 경우 해빈의 보전적 관리 측면에서 목표로 설정할 수 있는 관리해안선
3 침식저지 목표해안선 Erosion prevention line 연안 침식으로 인하여 재산적 피해에 노출된 배후 시설이나 구조물을 재산적 피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빈의 침식을 허용하는 한계선으로, 배후 시설이나 구조물의 사빈 인접선으로 설정되는 관리해안선
4 평형상태 해안선 Equilibrium shore line 유역 및 해안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평형 해안선
5 침식한계선 Erosion control line 원칙적으로 완충구역을 벗어나 배후지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는 가상의 해안선 설정된 관리해안선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더 이상 침식을 허용하지 않는 한계선으로 가상의 해안선
6 표사이동 수평거리 Horizontal littoral width 해빈단으로부터 모래이동한계수심까지의 수평거리
7 표사이동 수직거리 Vertical littoral height 해빈단 높이와 모래이동한계수심을 더한 수직거리.
8 해빈반응 계수 Beach response factor 쇄파에너지와 최대 침식 폭과의 비례상수
9 해빈회귀 계수 Beach recovery factor 부유된 모래가 해안방향으로 돌아오는 비율. 해안정선이 침식되기 이전의 위치로 돌아오는 비율.
10 해빈침식 계수 Beach erodibility factor 부유된 모래가 외해방향으로 이동하는 비율.
11 바구니형 해안 Basket type beach 계절적 우회표사를 일부 허용하고 회절의 영향권이 전체 해안에 비하여 큰 해안으로 서로 다른 방향의 연안류 발생이 가능한 해안
12 반사형해안 Reflective type beach 모래 입경이 크고, 파랑이 작으며, 장주기파인 Ω<1.0조건으로 해빈경사가 급하고 사주가 형성되지 않음.
13 부리형 해안 Beak type beach 한쪽면에만 방파제의 확장과 같이 인위적인 해안개발로 많이 형성되는 해안의 형태.
14 직선형 해안 Straight type beach 등수심선이 거의 평형하고 직선적인 해안으로 해안의 파랑 굴절 패턴이 거의 같아 연안표사량이 같은 방향으로 거의 동일하게 발생하는 해안.
15 활형 해안 Bow type beach 연안표사의 이동을 일부 허용하며, 해안의 형태는 대칭적임. 연안표사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해안.
16 주머니형 해안 Pocket type shoreline 바구니형보다 더 깊숙이 자리하여 연안표사의 유입은 물론 유출이 거의 없는 형태의 해안을 말함. 표사의 이동한계인 한계수심보다도 곶이 크게 발달한 경우에 형성되는 해안으로 파형에 따른 민감도가 가장 작아 가장 안정된 해안의 형태임.
17 파위상 포텐셜 Wave phase potential 파가 발생한 먼 바다로부터 파랑이 진행하면서 낮아지도록 정의되는 파위상의 적분으로 표현할 수 있음. 마치 지구 중력장에서 위치포텐셜이 저 먼 대기권으로부터 중력의 중심인 지구 중심을 향하여 낮아지는 것과 유사함.
18 (장기)배경 침식 Background erosion 표사수지 변화로 인한 표사수지 불균현을 초래하는 장기적인 해안선 침식.
19 (중기)변형 침식 Redistribution erosion 연안개발과 같은 파랑장 변화로 인해 평형해안선의 변형으로 인한 해안선 침식.
20 (단기)회복 침식 Episodic erosion 고파랑 에너지 유입에 의해 단기적으로 발생하는 회복 가능한 해안선 침식.
TOOLS
METRICS Graph View
  • 1,158 View
  • 27 Download
Related articles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A-114, College of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120 Neungdongro, Gwangjin-gu, Seoul 05029, Korea
Tel: +82-2-444-7494    Fax: +82-2-444-7264    E-mail: kscdp@kscdp.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Society of Coastal Disaster Preven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